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78

혈액형, 애니어그램, MBTI 차이 사람을 이해하는 도구 MBTI가 나오기 전 사람들이 많이 사용했던 사람의 유형 분류는 혈액형이었습니다. 고대로부터 사용했던 애니어그램이라는 유형분류가 있지만 구체적은 문항을 통해 분류한 것은 MBTI입니다. 사람을 이해하는 도구였던 혈액형, 애니어그램, MBTI 차이에 대해 정리해 봤습니다. 애니어그램과 MBTI    애니어그램애니어그램은 '아홉 개의 점이 있는 그림'이라는 뜻으로, 인간의 성격을 아홉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의 특징을 분석하여 자기 혁신과 자기 실현을 돕는 인간학입니다. 애니어그램의 정확한 기원은 불분명하지만, 여러 고대 전통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현대 심리학과 접목되어 발전했으며 개인의 핵심 동기와 두려움을 기반으로 하여 행동의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수피즘: 일.. 2024. 12. 9.
학교 시험 문제 저작물의 권리 학교일까 선생님일까 출판사일까 A선생님이 학교 시험 문제를 만들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선생님이 만든 시험 문제의 저작권은 누구에게 있을까요? 선생님일까요? 학교일까요? 출판사일까요? 저작권저작권은 무조건 만든 분에게 있습니다. 어떤 문제를 보고 영감을 받아 새로운 문제를 만들었다면 새로운 문제를 만든 분에게 있습니다. 이점은 변하기 않을 것 같습니다.      저작권과 사용권문제는 저작권이 아닌 사용권입니다. 회사에서 특허를 내면 발명자는 직원입니다. 특허권 발명자로 등록을 합니다. 하지만 사용권은 회사가 같습니다. 회사에서 해당 특허가 나오는 비용과 시스템을 제공했기 때문입니다. 해당 특허가 대 성공을 거뒀을 때 회사가 발명권자에게 포상은 하지만 수익은 나눠주지 않는 이유도 그 때문입니다. 중요한 것은 저작권이 아닌 사용권입니다.. 2024. 12. 6.
대치동 기숙학원, 대치동 학사에 거주하며 원하는 학원을 다닐 것인가 vs 기숙형 학원 대치동에서 재수를 하겠다고 결심할 경우 한적한 곳의 기숙학원이 아닌 숙박만 제공하는 학사와 대치동 학원을 연계하는 프로그램을 고민하게 됩니다. 이럴 바엔 기숙학원을 다니는 게 낫지 않겠나 싶은 생각이 들지만 마음에 드는 학원과 강사를 생각하면 대치동이 답일 것 같은 생각이 듭니다.  대치동 학사와 기숙학원대치동에서 재수를 하겠다고 마음 먹었을 때 자연스럽게 나오는 고민이 대치동 학사를 이용하면서 원하는 학원에 다닐 것인가, 대치동 학원에서 제공하는 학사를 이용하면서 학원에 다닐 것인가입니다. 이와 관련한 사항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대치동 학사 거주마음에 드는 학원이 대치동에 있는데 오가는 시간이 힘들어 근처의 학사나 고시원에 거주하는 경우입니다. 학원을 바꾸며 다녀야 할 때, 즉 강사 따라다닐 때 .. 2024. 12. 5.
저작권 각자 소유, 공동 소유 차이점 학원에서 만든 저작물의 소유 저작물의 권리인 저작권의 개념은 조금 복잡합니다. 권리를 주장할 수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강사가 학원에서 문제를 만들었는데 학원에서 저작권을 주장할 수 있습니다. 원저작이 있는 문제를 변형한 경우 권리 관계가 복잡해집니다. 이 글은 권리 관계 해소가 아닌 소유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저작권저작물의 권리인 저작권의 경우 저작권이 있으면 모든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분이 많습니다. 원칙적으로는 맞으나 중요한 것은 저작물의 사용권리입니다. 노래를 내가 작사, 작곡했는데 노래의 사용권을 다른 이에게 양도했다면 발생 수익을 다른 이가 가져가게 됩니다. 물론 이 예는 극단적인 예로 분쟁의 과정을 거쳐서 이길 수도 질 수도 있습니다.     각자 소유와 공동 소유의 차이만들어진 창작물에 대해 각자 .. 2024. 12. 4.
반응형